▶ 매미와 백로 ◀


■ 청렴의 상징 매미
 옛사람들은 매미를 군자가 지녀야 할 다섯가지 덕을 갖춘 곤충으로 여겼다. 매미는 이슬이나 나무 진액 같은 깨끗한 것을 먹고 사니 성품이 높고 맑은 청(淸)이요, 사람이 먹는 곡식이나 채소를 해치..."> ▶ 매미와 백로 ◀


■ 청렴의 상징 매미
 옛사람들은 매미를 군자가 지녀야 할 다섯가지 덕을 갖춘 곤충으로 여겼다. 매미는 이슬이나 나무 진액 같은 깨끗한 것을 먹고 사니 성품이 높고 맑은 청(淸)이요, 사람이 먹는 곡식이나 채소를 해치..." /> 국립대전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

공지사항

정보입력 테이블
제목 청렴공감편지
작성일 2015-10-29 조회수 129

▶ 매미와 백로 ◀


■ 청렴의 상징 매미
 옛사람들은 매미를 군자가 지녀야 할 다섯가지 덕을 갖춘 곤충으로 여겼다. 매미는 이슬이나 나무 진액 같은 깨끗한 것을 먹고 사니 성품이 높고 맑은 청(淸)이요, 사람이 먹는 곡식이나 채소를 해치지 않으니 염치가 있고(廉), 다른 곤충과 달리 집이 없어 나무 그늘에서 사니 검소하며(儉), 늦가을이 되면 때를 맞춰 목숨을 버리니 믿음이 있고(信), 매미의 곧은 입은 선비의 늘어진 갓끈을 닮았다 하여 학문을 갖추었다(學)는 것이다.
 그래서 임금님도 매미의 덕을 본받으란 의미로 머리에 쓰는 ‘익선관’ 「날개 익(翼), 매미 선(蟬), 갓 관(冠)」 꼭대기에 매미의 날개를 붙여 놓았다. 신하들이 쓰는 ‘사모’에도 양쪽에 매미 날개가 달려 있다.

■ 청순한 자태를 지닌 백로
 새는 움직이는 생물들 가운데 하늘을 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하늘과 땅의 중간지점에서 영혼을 옮겨준다하여 예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새 중에서도 백로는 흰빛의 청순한 자태를 지녀 선비의 모습이 보여진다 하여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현대에도 백로는 복잡성과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도시의 삶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다시 반영하고 우리의 삶에 얽혀 있는 수많은 규제들과 타인과 부딪히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는 매체가 된다.

 

안장자묘역 QR코드
안장자 묘역 QR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