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끄럽지 않은 관직생활 ◀
박팽년은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세종 당시의 대표학자라 할 수 있다. 성삼문과 더불어 일찍이 집현전에 발탁되어 임금의 총애를 받았던 그는 성품이 올곧고,...">
▶ 부끄럽지 않은 관직생활 ◀
박팽년은 조선초기의 문신으로, 세종 당시의 대표학자라 할 수 있다. 성삼문과 더불어 일찍이 집현전에 발탁되어 임금의 총애를 받았던 그는 성품이 올곧고,..." />
제목 | 청렴공감편지 | |||
---|---|---|---|---|
작성일 | 2016-06-07 | 조회수 | 109 | |
▶ 부끄럽지 않은 관직생활 ◀
선조대왕이 하루는 조정의 대신들을 모아 놓고, “옛날 박팽년은 그가 천거하여 벼슬을 시켜준 친구가 밭을 주려고 하여도 그가 ‘친구 간에 주고 받는 것은 비록 거마(車馬)라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옛글이 있지만 혐의스러우니 받을 수가 없다’하면서 거절하였다고 하니 이것은 가히 청렴이다.”라 그를 일컬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인품을 크게 치하하며 그 자손까지 관원으로 임명토록 하라는 전교를 내렸다. 이에 따라서 박팽년의 현손(손자의 손자) 박계창이 소격서 참봉에 임명됨으로써 그의 후손은 비로소 벼슬길에 나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 뒤 숙종은 다시 그의 누명을 벗기고 관직을 복구시켜줌과 동시에 충정이라는 시호를 내려 그의 절의를 표창하였다. 이 시조는 옥중에서 그가 세조의 회유책에 대항하여 쓴 것으로, 임금을 섬기되 분별없이 여러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